간단 정리 & 비교: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

2025. 2. 19. 22:25우리의 지식 정보

반응형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재학 기간 동안 상환을 유예하고, 졸업 후 일정 소득이 발생한 시점부터 원리금 상환을 시작하는 제도입니다.

  • 대상: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학부생 및 전문대 전문기술석사 과정생으로, 만 35세 이하(선취업 후진학자는 만 45세 이하)인 대한민국 국민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소득 기준: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의 학부생과 4구간 이하의 대학원생이 대상입니다. 다만, 다자녀 가구(3자녀 이상) 학부생 및 자립준비청년(보호아동 포함)의 경우, 소득 구간에 관계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 성적 기준: 신입생은 성적 제한이 없으며, 재학생은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해야 합니다. 장애인의 경우 성적 기준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대출 한도: 등록금은 해당 학기 소요액 전액을 지원하며, 생활비는 학기당 200만 원, 연간 최대 400만 원까지 대출 가능합니다.
  • 금리 및 상환: 2025년 1학기 기준 변동금리 1.7%가 적용되며, 재학 중에는 이자 납부가 유예됩니다. 졸업 후 연간 소득이 상환 기준 소득(2025년 기준 2,851만 원)을 초과하면 소득 수준에 따라 원리금 상환이 시작됩니다.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은 대출 기간 동안 이자를 납부하고, 거치 기간 이후 원리금을 분할 상환하는 제도입니다.

  • 대상: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학부생 및 대학원생으로, 만 55세 이하인 대한민국 국민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소득 기준: 소득 구간에 제한이 없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 성적 기준: 신입생은 성적 제한이 없으며, 재학생은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하고 성적이 70/100점(C학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장애인의 경우 성적 기준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대출 한도: 등록금은 해당 학기 소요액 전액을 지원하며, 생활비는 학기당 200만 원, 연간 최대 400만 원까지 대출 가능합니다. 다만, 총 대출 한도는 대학 유형 및 과정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일반 대학은 4,000만 원, 5~6년제 대학 및 일반 대학원은 6,000만 원, 의·치의·한의계열 대학원은 9,000만 원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금리 및 상환: 2025년 1학기 기준 고정금리 1.7%가 적용되며, 거치 기간 동안 이자만 납부하고, 이후 원리금을 분할 상환합니다. 상환 기간은 최대 10년까지 선택 가능합니다.

두 학자금 대출 방식의 비교

구분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

대상 만 35세 이하 학부생
(선취업 후진학자: 만 45세 이하)
만 55세 이하 학부생 및 대학원생
소득 기준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
(다자녀 가구 및 자립준비청년은 제한 없음)
제한 없음
성적 기준 신입생: 제한 없음
재학생: 12학점 이상 이수
신입생: 제한 없음
재학생: 12학점 이상 이수 및 C학점 이상
대출 한도 등록금: 소요액 전액
생활비: 학기당 200만 원
등록금: 소요액 전액
생활비: 학기당 200만 원
총 한도: 대학 유형 및 과정에 따라 다름
금리 변동금리 1.7% (2025년 1학기 기준) 고정금리 1.7% (2025년 1학기 기준)
상환 방식 소득 발생 시점부터 상환
(상환 기준 소득 초과 시)
거치 기간 후 원리금 분할 상환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재학 중 상환 부담을 덜고, 취업 후 소득이 발생할 때 상환을 시작하므로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은 소득 기준이 없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고정금리로 안정적인 상환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개인의 재정 상황, 학업 계획, 미래 소득 전망 등을 고려하여 두 대출 방식 중 본인에게 적합한 것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장학재단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한국장학재단 공식 홈페이지 링크

https://www.kosaf.go.kr/ko/main.do
반응형